본문 바로가기
일상/잡학지식

제사 지방쓰는법 알아두자

by 미니 2021. 5. 11.
반응형

우리에게는 떼려야 뗄 수 없는 풍습이 몇 가지 있다. 그중 하나가 제사이다. 시대가 변하면서 제사에 대한 관심도 낮아지고 간소화되고 있지만 여전히 명절에 가족 친지들이 모여 제사를 지내는 풍습을 유지하고 있다. 지금까지는 대부분의 집안에서 제사를 고조부까지 지내왔지만, 점차 줄이고 있는 추세이다. 앞으로는 많이 사그라져 1대 봉사, 즉 부모만 제사드리는 것으로 바뀔 것으로 보인다. 관심도가 줄어들면서 제사 지방 쓰는 법을 모르는 사람들도 늘어났다. 지방 작성 방법에 대해 알아두면 유익할 것이다.

 

 

지방이란?

 

지방은 신위의 일종이다. (*신위 :  죽은 이를 표상한 물건) 원래는 사당에 모셔야하지만 대부분의 가정집에서는 그러하지 못하여 제사 전에 지방을 써서 사용한다. 1회용 신위라고 생각하면 되겠다. 

 

 

제사 지방쓰는법

 

지방은 일반적으로 폭 6cm, 길이 22cm의  흰색 한지에 붓으로 작성한다. 위쪽의 양 끝은 조금씩 자르거나 접어 둥근 모양이 되도록 만들어준다. 하늘은 둥글고 땅은 평평하다 하여 직사각 종이의 위쪽은 접어서 둥글게 만들어주었다.  

 

 

지방은 보통 한자로 작성을 하나, 요즘은 한글로 작성하기도 한다. 부모님 두 분이 모두 돌아가셨을 경우에는 지방을 쓸 때 아버지는 왼쪽, 어머니는 오른쪽에 적고, 부모님 중 한 분만 돌아가셨다면 한분만 쓰면 되고, 중앙에 작성한다. 조상의 제사 지방 쓰는 법도 마찬가지로 왼쪽이 남자 조상, 오른쪽이 여자 조상을 쓴다. 혹, 여자 조상이 두 분인 경우에는 남자 조상의 오른쪽에 이어서 쓴다.

 

고인의 제사를 모시는 사람(제주)의 관계, 고인의 직위, 이름, 자리의 순서로 적는다. 지방의 가장 첫 글자는 현(顯)을 쓰는데 이는 존경의 의미를 지닌다. 고인이 제사를 모시는 사람보다 아랫사람이라면 사용하지 않는다. 

 

 

아버지 제사 지방쓰는법

 

 

 

①현顯 : 존경의 의미

②고考 : 제주의 아버지임을 의미

③학學 생生 : 이 자리는 본래 관직을 나타내는 글자를 작성하는데, 학생은 관직이 없거나 과거시험을 준비하는 경우를 의미했다. 현재는 고인이 남성이라면 모두 학생으로 적는다.

④부府 군君 : 제사 대상이 제주(제사를 모시는 사람)보다 윗사람일 때 이름 대신 적는 문구이며, 만일 제사 대상이 아랫사람이면 이름을 적는다.

⑤신神 위位 : 제사 지방의 마지막에는 조상의 자리를 의미하는 신위를 적는다.

 

고인이 제주의 할아버지라면 고考 대신 현顯고祖조考로 작성하고, 증조할아버지라면 현顯증曾고祖조考 , 고조할아버지라면 현顯고高조祖고考로 작성하면 된다.

 

 

어머니 제사 지방쓰는법

 

 

①현顯 : 존경의 의미

②비妣 : 돌아가신 어머니를 의미

③유孺 인人 : 벼슬이 없는 사람을 총칭

④안安 동東 김金 씨氏 : 고인의 이름 대신 본관과 성씨를 적는다.

⑤신神 위位 : 조상의 자리를 의미

 

 

제주의 할머니의 경우 비를 쓰지 않고 현祖비妣로 작성하고, 증조할머니는 증曾조祖비妣, 고조할머니는 고高조祖비妣로 적는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