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동물로 쥐를 사용하는 이유는?
전 세계적으로 매년 6억 마리 정도의 쥐가 실험으로 희생된다고 한다. 수많은 동물 중에 실험용 동물로 쥐를 많이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실험동물 의학, 약학, 수의학, 축산학 등의 생물학 연구와 교육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동물을 총칭하여 실험동물이라고 한다. 유전적으로 규제가 되어 있는 실험 목적에 맞도록 생산된 동물을 말한다. 쥐, 기니피그, 햄스터, 토끼, 개, 고양이, 원숭이, 돼지, 염소, 닭 등이 실험동물로 사용되고 있으며, 특정 병원체의 감염이 전혀 없는 것으로 증명된 SPF동물이 대량 육성된다고 한다. SPF동물이란? Specific pathogen free의 약자인 SPF, 특정한 병원성 미생물에 감염되지 않은 것이 확인된 실험동물을 의미한다. SPF 동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700평의 ..
2021. 3. 9.
축농증에 좋은음식 7가지
축농증이란? 흔히 우리가 축농증이라고 부르는 질환은 부비동염(코부비동염)이다. 부비동은 얼굴뼈 속에 공기가 채워진 빈 공간인데 사골동, 상악동, 전두동, 접형동으로 나뉘어있다. 부비동은 조그만 통로를 통해 비강으로 열려 있는데, 외부로부터 들이마시는 공기의 가습, 비강 내의 압력 조절 역할을 한다. 이 부비동 내부를 덮고 있는 점막에 염증을 생기는 것을 부비동염, 축농증이라고 부른다. 비염에 의해 속발하고, 비염이 없이 부비동염만 발생하는 경우는 거의 없어 코부비동염이라고 한다. 코부비동염은 증상이 다양하지만 주증상과 부증상군으로 나누고 주증상이 2개 이상 있거나, 1개의 주증상과 2개 이상의 부증상이 동반될 경우 축농증으로 진단한다. 주증상 부증상 농성비루, 농성 후비루, 비폐색 안면충혈-충만감 후각감..
2021. 2. 26.